코로나시대의 박사과정생

아젠다세팅과 프레이밍, 프라이밍과 아젠다세팅의 관계 비교 본문

연구 관심 분야

아젠다세팅과 프레이밍, 프라이밍과 아젠다세팅의 관계 비교

코시박 2021. 1. 15. 19:42

<프레이밍과 2단계 아젠다세팅>

1단계 아젠다 세팅: what issues

2단계 아젠다 세팅: attributes of issues (issue나 대상의 특징/속성들)

 

Framing을 selection, emphasis, exclusion, and elaboration과 비슷하게 본 학자들이 있는 반면, Gamson (1992)은 프레이밍을 signature matrix라고 했음. 이 매트릭스는 압축된 상징들 (캐치프레이즈, 태그라인, 예시, 메타포, 묘사, 비주얼 이미지들)과 reasoning devices (원인과 결과, 도덕 등에 어필)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2단계 아젠다세팅은 '압축된 상징들' 요소와 비슷함 (Weaver, McCombs, & Shaw, 2004).

 

구성주의 관점에서 프레이밍은 (cognitive concepts인) 프라이밍과 아젠다세팅보다 더 넓은 범주를 아우름. 프레이밍은 거시 사회구조인 문화와 연관됨.

 

지난 연구들을 돌아보면 최근에는 아젠다세팅이나 프라이밍보다 프레이밍 연구가 훨씬 많이 되었음. (프라이밍은 비교적 최근, 2000년대 이후 연구가 되기 시작했으나 프레이밍 연구 수가 압도적임). 프레이밍이 인기 많아진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저자는 모호하거나 통합적인 성격의 용어 때문이라고 가정함. 

 

아젠다세팅과 프레이밍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먼저 프레이밍을 정의 내려야 함. 

비교 예시 - Callaghan & Schnell (2001) "Guns do not kill, people do" "there is a constitutional right to bear arms." 이 arguments는 보통 attribute라고 정의하는 것들을 넘어서는데, 왜냐하면 저 메시지들은 이슈 자체가 갖고 있는 특징이나 질(qualities) 이상의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

 

<프라이밍과 아젠다세팅>

프라이밍 - consequences of agenda-setting for public opinion; making certain issues or attributes more salient and more likely to be accessed in forming opinions

 

Weaver, McCombs, and Spellman (1975)의 워터게이트 뉴스 연구 - 미디어가 어떤 이슈로 정치인들을 평가할지를 제안함

Weaver (1991) - 연방 예산 부족에 대해 걱정을 많이 할수록 가능한 원인과 문제에 대한 솔루션을 많이 알고 있으며, 더욱 강하고 양극화한 의견을 갖고 있으며, 정치적 행동에 참여한다는 상관관계를 발견함.

 

Willnat (1997), Cohen (1963) - 매스미디어는 우리에게 무엇에 관해서 생각할 것인가와 무엇을 생각할 것인가를 말해준다

Scheufele (2000) - 아젠다세팅은 theory of attitude accessibility에 의존하고 있는데, 이슈의 중요도를 높여 정치적 판단을 할 때 그 이슈를 쉽게 떠올릴 수 있게 하는 것이 목적이고, 프레이밍은 prospect theory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상황 설명에 대한 작은 변화로도 새로 들어온 정보에 대한 해석이 시작된다 (단순히 어떤 이슈를 더 현저하게 만드는 것에서 그치지 않음).

 

 

<요약>

아젠다세팅과 프레이밍:

공통점

  • 둘 다 이슈나 주제(사람, 그룹, 조직, 나라 등)가 미디어에서 '어떻게' 묘사되느냐가 '어떤 이슈'가 다른 이슈들보다 많이 보도되었느냐보다 중요하게 여겨짐.
  • 둘 다 가장 현저하고 중요한 요소나 테마, 또는 관심 대상의 설명에 중점을 둠
  • 둘 다 생각의 대상 (objects of thinking) 보다 생각의 방법(ways of thinking)에 관심이 있음

차이점

  • 프레이밍은 더 확장된 인지 과정 (도덕적 판단, 인과 관계 reasoning, appeals to principles, 그리고 문제 해결을 위한 제안 등)을 포함한다. 2단계 아젠다세팅은 the salience of attributes of an object까지만 관심을 둠.

 

아젠다세팅과 프라이밍:

공통점

  • 둘 다 salience based

차이점

  • 아젠다세팅은 더 a matter of accessibility와 관련이 있음. 모든 사람이 같은 횟수의 미디어 커버리지에 비슷한 수준의 accessibility를 보이지 않음. 이때 perceived relevance and uncertainty가 아젠다세팅의 정도에 관여함.

Takeshita (2006) - Salience의 두 가지 의미

1) the idea of perceived importance; a self-report question --- V 더 중요. 왜냐하면 프레이밍의 subsequent effect를 mediate 하기 때문 (accessibility는 안 그럼.)

2) top of mind; the idea of accessibility; response time

 

 

참고문헌을 메모, 요약한 포스트입니다.

 

참고문헌:

Weaver, D. H. (2007). Thoughts on agenda setting, framing, and priming. Journal of communication57(1), 142-147.

'연구 관심 분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aming, Frame, Framework / 프레이밍 이론  (0) 2021.01.15
Comments